반응형
배운 것
AWS를 이용해 컴퓨터를 구입하고 배포하기
내용 정리
내 프로젝트 서버에 올리고 배포하기
배포는 누구나 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! = 웹 서비스 런칭
웹 서비스를 런칭하려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항상 응답해줄 수 있는 서버에 프로젝트를 실행 시켜야 한다
언제나 요청에 응답하려면,
1) 컴퓨터가 항상 켜져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하고,
2)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주소인 공개 IP 주소(Public IP Address)로 나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해요.
AWS 라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편하게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켜 놓을 수 있는 컴퓨터인 EC2 사용권을 구입해 서버로 사용했다
느낀 점 / 보완할 점
AWS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구입하고, 그 곳에 Flask로 만든 서버를 올리고 실행시켰다.
이로써, AWS의 컴퓨터에선 서버가 꺼지지않고 계속 돌아가게 되며, 언제,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해지는 것을 경험했다.
이로써, 웹 개발의 큰 틀을 경험해보았다.
처음으로 웹 개발의 a-z까지 경험을 해본 것인데, 재밌으면서도 어려워서 애먹었다.
내 실력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을 다시 깨달을 수 있었다
아직 전부가 이해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, 다시 보면서 큰 틀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!
'아카이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파르타 코딩클럽 [ 웹개발 종합반 ] - 회고 (0) | 2022.01.18 |
---|---|
스파르타 코딩클럽 [ 웹개발 종합반 ] - 4주차 (0) | 2022.01.18 |
스파르타 코딩클럽 [ 웹개발 종합반 ] - 3주차 (0) | 2022.01.13 |
스파르타 코딩클럽 [ 웹개발 종합반 ] - 2주차 (0) | 2022.01.08 |
스파르타 코딩클럽 [ 웹개발 종합반 ] - 1주차 (0) | 2022.01.06 |